운동을 하는 목적은 사람마다 다 다르다.
축구나 농구 등 취미나 놀이 문화처럼 운동을 하는 사람들도 있고,
건강한 신체와 예쁜 몸을 만들려 살을 빼려고 다이어트하는 사람들도 있다.
다이어트하는 많은 사람들이 들으면 의지를 깎을 수도 있겠지만
운동 자체만으론 다이어트에 큰 효과가 없다.
운동은 근육량을 늘려주고 근력 등 몸에 큰 정말 좋은 역할을 많이 하지만 다이어트적인 측면으로만 볼 때
식습관의 변화 없이 운동만 한 사람들은 체중이 크게 변하지 않는 걸 겪어봤을 것이다. 즉, 식습관과 함께 진행되어야만 한다. 또한 운동이 심장이나 장기, 신체들의 역할을 증진시키고 큰 병들을 예방하게 해 준다지만
많은 어린 친구들이나 젊은 사람들한테는 설득력이 많이 떨어진다.
그렇다면 운동을 안 해도 사는데 큰 문제가 없지 않을까?
많은 신경학자들은 운동에 관해 얘기할 때 어떠한 약들보다 만병통치약이라 이야기한다.
운동은 분명 다이어트나 성인병 예방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더 많은 필요성이 있다.
먼저 운동과 뇌에 관해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다.
신경과학자 다니엘 울퍼트에 의하면 뇌가 존재하는 이유는 단 한 가지 움직이기 위해서라고 이야기한다.
만약 주위 사물을 인지하는 것, 생각하는 것, 기억하는 것 등 두뇌의 활동이 미래의 움직임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은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 퇴화할 것이라고 말이다.
멍게의 경우 처음 유생 때 바닷속을 헤엄쳐 다니다가, 특정 시기에 이르면 바위에 달라붙는데,
바위에 달라붙고 움직일 필요성을 못 느낀 멍게는 이상한 행동을 보인다.
자신의 뇌와 신경계들을 영양보충 민 에너지원의 필요성을 느끼고 먹어버리는 것이다.
움직일 필요가 없어진 순간부터 멍게에게 뇌는 쓸모없는 물품이 되어버린 것이다.
코알라도 비슷한 경우를 보이는데 코알라의 뇌의 경우 40%가 뇌척수액으로 가득 차있다.
뇌의 빈 공간이 존재한다는 곳은 과거 코알라의 조상들은 지금의 코알라들에 비해 더 큰 뇌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몸을 많이 움직이지 않고 나뭇잎을 느릿하게 뜯어먹게 된 코알라는
불필요한 에너지원으로 보이는 뇌의 부분들을 줄이는 등에 결과를 초래한 것이다.
우리 인간이 타 동물들에 비해 비교적 큰 뇌를 가지게 된 것은
살아남는 데에 다양한 움직임을 필요로 했기 때문이다.
디지털 및 과학의 발전으로 지금과 달리 과거 수렵채집 시절 인간이 움직이는 것은 생존을 위한 필수 도구였다.
음식을 먹으려면 이곳저곳을 활보하며 다녔으며 식량이 풍부한 곳을 기억했다가 다시 찾아오기도 하며
맹수가 자주 등장하는 곳은 기억했다가 피해서 이동했으며, 사냥할 시 사냥감의 움직임이나 동태를 파악해야 했다.
활이나 무기 등 도구를 잡기 위해선 손가락 끝의 신경까지 신경 써가며 활용해야 했다.
이러한 특수적이고 복합한 움직임의 필요성을 위해 인간은 복잡하고 큰 두뇌가 필요했으며,
두뇌의 많은 부분들이 움직임을 도운 것이다.
과학의 발전으로 이미 많은 부분에서 인가을 훨씬 뛰어넘은 로봇, 기계들 조차 움직이는 모습을 보일 때
어린아이보다도 한참 못하게 어색한 움직임을 보이는 것을 보면 우리 인간이 움직이기 위해
얼마나 많은 복잡한 두뇌 활동이 필요해왔는지 알 수 있다.
이밖에도 이러한 것들을 증명하듯 연구들이 최근 수없이 많은 결과물들로 증명해 보였는데 운동을 잘하는 학생일수록 대학 입시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다는 연구와 운동으로 심혈관 건강을 증진시킨 학생들의 IQ가 올라갔다는 연구도 보이고 높은 강도의 운동을 한 사람의 암기 속도가 하지 않은 사람의 암기 속도보다 더 빨랐다는 사실 들 운동을 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집중력과 인지 능력이 뛰어나다는 연구, 규칙적인 운동이 치매를 예방한다는 연구, 그리고 운동할 때 분비되는 도파민, 세로토닌, 엔도르핀, 노르에피네프린, BDNF 등 뇌의 기능에 관여하는 화학물질까지 운동이 이렇듯 운동이 뇌와 얼마나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를 보여준다.
지금과 같이 발전한 문명과 테크놀로지에 발전으로 컴퓨터나 침대에 누워 기계에 의존하는 생활을 하면
미래 우리 인간들의 뇌는 어떤 식으로 변할 것인가? 코알라나 멍게처럼 뇌의 필요성을 덜 인지할 까?
사실 현재만 보더라도 현대 우리 인간들의 뇌의 상태는 좋지 않다.
최근 발표에 의하면 우리나라 치매 인구 증가율은 11.7%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증가율을 보이고 있고
우리 현대인들의 뇌 크기가 2만 년 전에 비해 테니스공 정도 작아졌다고 한다.
심각성과 중요성을 인지한 여러 나라에서는 학교 학생들의 체육시간을 늘리고 운동의 비중을 높였으며
우리나라 민사 고등 특수학교에서는 아침에 일어나 운동하는 시간을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있다고 한다.
태어날 때부터 등이 굽은 노인의 모습을 하는 사람은 없다. 같은 늙은 나이에도 허리가 꼿꼿이 정정하게 걸어 다닌
노인이 있는 반면 허리가 굽은 채 힘겹게 걸어가는 노인도 있다. 이 일생에 짧은 기간에도 움직임과 활동에
신체의 많은 변화를 준다. 그리고 꼭 신체의 미와 건강 및 예방뿐만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데에 운동은
정말 많은 필요성을 느낀다.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른 사람들이 살이 안 찌는 이유 (0) | 2020.10.17 |
---|---|
수면과 운동의 상관관계 (0) | 2020.10.16 |
술이 근육 성장에 미치는 영향 (0) | 2020.10.14 |
맨몸 운동의 한계와 웨이트 운동 (0) | 2020.10.13 |
근손실을 최소화 하는 방법 (0) | 2020.10.12 |